banner-image

Photo by Farzad Nazifi on Unsplash

지난 포스트 Erlang - 03. Lists에서 리스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은 모듈과 함수에 대해 알아보고 패턴 매칭, 리스트 등 지금까지 배워온 것들을 활용해봅시다.

모듈과 함수

모듈은 함수의 묶음이자 .erl 확장자를 가진 하나의 파일입니다. 우리가 작성한 모든 코드는 모듈에 담깁니다.

Examples

-module(lect4).
-export([say_hello/1]).

say_hello({earthian, Name}) ->
    io:fwrite("Hello, Earthian ~p~n", [Name]);
say_hello({martian, Name}) ->
    io:fwrite("Hello, Martian ~p~n", [Name]);
say_hello({_,Name}) ->
    io:fwrite("Hello, ~p~n", [Name]).

다음은 얼랭 모듈 파일의 예시입니다. -module(), -export()과 같은 것들은 module attribute라 칭합니다. -module()은 모듈의 이름 정의를, -export()은 모듈 외부에 노출시킬 모듈 내 함수들을 입력합니다. 입력 규칙은 함수명/파라미터 수입니다. 일단 이것과 관련된 더 자세한 이야기는 지금 하지 않겠습니다. 일단 함수 정의 및 사용에 더 집중합시다.

얼랭은 같은 개수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는 동명의 함수를 여러 번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say_hello 함수 정의를 절(clause)이라고 부릅니다. 각 함수 절은 세미콜론 ; 으로 구문하고, 마지막 절은 콤마 . 로 끝납니다. 함수 내의 식(expression)은 컴마 , 로 구문하고 가장 마지막의 명령의 결과 값이 함수의 리턴 값으로 결정됩니다.

절(clause)

그러면, 이제 이러한 의문이 생길지도 모릅니다. 함수명이 같고, 파라미터의 개수까지 같은데 어떻게 동작하죠?
해답은 바로 패턴 매칭에 있습니다. 파라미터의 패턴만 다르면 됩니다. 이전 강의에서 패턴 매칭에 대해 배운 것 기억하시죠? 여러 절을 가진 함수는 먼저 정의된 함수부터 패턴이 매칭되는 함수를 찾습니다. 그리고 매칭에 성공한 함수를 만나면 함수를 실행합니다.

글로만 읽으면 이해가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직접 컴파일하고, 호출해보며 익혀봅시다.
적절한 디렉토리에 lect4.erl라는 파일을 생성하고, 상단의 Examples 코드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에서 erl 명령어로 얼랭 시작 후 모듈을 컴파일합니다. 컴파일은 간단합니다. BIF인 c(ModuleName)을 호출합니다.

bash> erl
Erlang/OTP 21 [erts-10.2.3] [source] [64-bit] [smp:12:12] [ds:12:12:10] [async-threads:1] [hipe] [dtrace]

Eshell V10.2.3  (abort with ^G)
1> c(lect4).
{ok,lect4}
2>

.erl로 작성된 얼랭 코드가 .beam 확장자를 가진 바이트코드 파일로 컴파일됩니다. .beam 파일은 얼랭 가상머신(VM) BEAM에서 동작합니다.

다음과 같이 {ok,lect4}가 나타나면 컴파일에 성공한 것입니다. 그리고 모듈 내 함수를 호출해봅시다. 호출 방법은 간단합니다. module_name:function_name(param)입니다.

2> lect4:say_hello({martian, "Chanwoo"}).
Hello, Martian "Chanwoo"
ok
3> lect4:say_hello({earthian, "John"}).
Hello, Earthian "John"
ok
4> lect4:say_hello({blahblah, "Smith"}).
Hello, "Smith"
ok
5>

튜플의 첫 번째 요소에 따라 각 martian이면 Martian, earthian이면 Earthian을 출력하도록 정의한 함수에 찾아갑니다.
say_hello 함수의 동작을 C++과 같은 언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class Lect4 {
public:
    enum Group {
        Earthian = 0,
        Martian
    };

    void sayHello(Group group, const std::string &name) {
        switch (group) {
            case Earthian:
                std::cout << "Hello, Earthian " << name << std::endl;
                break;
            case Martian:
                std::cout << "Hello, Martian " << name << std::endl;
                break;
            default:
                std::cout << "Hello, " << name << std::endl;
                break;
        }
    }
};

/* 선언 및 호출
auto lect4 = std::make_shared<Lect4>();
lect4->sayHello(Lect4::Group::Martian, "Chanwoo");
*/

언어마다 문법은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함수를 정의하고 내부에서 if, switch와 같은 구문으로 분기점을 만들어 동작을 달리 지정하는 것은 유사합니다.
하지만 얼랭은 함수 내에서 나뉘는 것이 아니라 함수 접근부터 패턴 매칭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정의된 함수부터 패턴이 매칭되는 함수를 찾는다고 했습니다. 그럼 만약에 상단에 더 큰 매칭 범위를 갖는 함수가 정의되어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say_hello정의를 다음과 같이 바꿔봅시다.

say_hello(Name) ->
    io:fwrite("Hello, Astronaut ~p~n", [Name]);
say_hello({earthian, Name}) ->
    io:fwrite("Hello, Earthian ~p~n", [Name]);
say_hello({martian, Name}) ->
    io:fwrite("Hello, Martian ~p~n", [Name]);
say_hello({_,Name}) ->
    io:fwrite("Hello, ~p~n", [Name]).

그리고, 다시 컴파일을 한 다음 함수를 호출해봅시다.

1> c(lect4).
lect4.erl:6: Warning: this clause cannot match because a previous clause at line 4 always matches
lect4.erl:8: Warning: this clause cannot match because a previous clause at line 4 always matches
lect4.erl:10: Warning: this clause cannot match because a previous clause at line 4 always matches
{ok,lect4}
2> lect4:say_hello({earthian, "Chanwoo"}).
Hello, Astronaut {earthian,"Chanwoo"}

얼랭이 아래에 위치한 절(clause)들이 매치될 수 없다고 경고를 출력합니다.
그리고 예상한 바와 같이 튜플의 첫 번째 요소에 earthian을 넣어도 상단에 위치한 say_hello(Name)에서 매치되므로 say_hello(Name)가 호출됩니다. 함수를 작성할 때 이런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반환 값(return value)

다음으로 간단히 리턴을 활용해봅시다. 아래의 코드를 추가합니다.

area(circle, R) ->
    io:fwrite("Calculate circle area(radius: ~w)~n", [R]),
    math:pi() * R * R.

area(rectangle, H, W) ->
    io:fwrite("Calculate rectangle area(width: ~w, height: ~w)~n", [H,W]),
    H * W.

export에도 추가하는 것을 잊지 맙시다. 이번에는 파라미터가 2개, 3개이므로 각 area/2, area/3을 추가합니다.

-export([say_hello/1, area/2, area/3]).

그리고 컴파일합니다. 위의 두 함수는 각 원과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중간의 출력 구문 io:fwrite() 끝의 콤마 ,와 같이 명령을 구분하며 함수의 절(clause)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17> c(lect4).
{ok,lect4}
18> lect4:area(circle, 4).
Calculate circle area(radius: 4)
50.26548245743669
19> lect4:area(rectangle, 4, 5).
Calculate rectangle area(width: 4, height: 5)
20

함수의 수행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A = lect4:area(rectangle, 3, 4).
Calculate rectangle area(width: 3, height: 4)
12
22> B = lect4:area(rectangle, 4, 5).
Calculate rectangle area(width: 4, height: 5)
20
23> A * B.
240
24> lect4:area(circle, lect4:area(rectangle, 5, 6)).
Calculate rectangle area(width: 5, height: 6)
Calculate circle area(radius: 30)
2827.4333882308138

여타 마찬가지로 함수의 실행 결과(return value)를 변수에 할당하거나, 다른 함수의 파라미터로 바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재귀 호출 (Recursion)

얼랭의 함수는 패턴 매칭으로 호출이 되고, 여타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함수의 실행 결과를 바로 다른 함수에 전달할 수 있으며, 함수의 가장 마지막 명령의 결과가 함수의 반환 값이 된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로 정말 놀랍도록 짧고, 강력하고, 재미있는 재귀 호출을 만들 수 있습니다!

Sum

쉬운 것부터 해볼까요? 입력한 숫자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해봅시다. 여기서부터 export 작성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sum(0) ->
    0;
sum(N) ->
    N + sum(N - 1).

sum()의 파라미터가 0일 경우 0을, 0이 아닐 경우 N + sum(N - 1)을 리턴하도록 작성했습니다.
입력 값이 3일 경우 3 + sum(2)이 되므로 sum(2)가 다시 한 번 호출되고, 3 + 2 + sum(2-1)… 결국엔 3 + 2 + 1 + sum(0)이 됩니다.
sum(0)은 0을 리턴하도록 설정되어있으므로, 결국엔 결과 6이 리턴됩니다.

실행결과

5> lect4:sum(100).
5050

Guards

sum(N) when N > 0 ->
    N + sum(N - 1);
sum(0) ->
    0.

참고로 함수를 정의할 때 when라는 구문으로 조건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N이 0보다 크다는 조건을 줄 경우 sum(0)sum(N) 하단에 정의해도 문제없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Guards라고 부릅니다. 결과는 똑같으니 취향에 알맞게 사용하면 됩니다.

Reverse

reverse([]) ->
    [];
reverse([LH | LT]) ->
    reverse(LT) ++ [LH].

다음과 같이 재귀 호출을 이용해 리스트를 뒤집어볼 수도 있습니다(물론, lists:reverse/1라는 함수가 있긴 합니다). 리스트의 Head와 Tail을 분리하여, Tail은 다시 한 번 호출 파라미터로 넣고, Head는 뒤에 붙이는 거죠.

실행결과

3> c(lect4).
{ok,lect4}
4> lect4:reverse([1,2,3,4,5]).
[5,4,3,2,1]

Fibonacci

조금 더 재미있는 것을 해봅시다. 재귀를 배울 때 한 번쯤 해보는 피보나치를 만들어볼까요?
피보나치 수의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F0 = 0, F1 = 1
  2. FN = F(N-1) + F(N-2)

0번째는 0, 1번째는 1이며, N번째는 F(N-1) + F(N-2)와 같다.

이게 전부입니다. 이 규칙은 얼랭 함수로 구현하기에 정말 잘 어울립니다.

fibonacci(N) when N < 2 ->
    N;
fibonacci(N) ->
    fibonacci(N - 1) + fibonacci(N - 2).

훌륭합니다! 단 네 줄만으로 피보나치를 구하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실행결과

9> lect4:fibonacci(0).
0
10> lect4:fibonacci(1).
1
11> lect4:fibonacci(5).
5
12> lect4:fibonacci(10).
55
13> lect4:fibonacci(30).
832040
16> lect4:fibonacci(40).
102334155

물론 효율적인 구조는 아닙니다. 매 호출마다 이전 값을 새로 구하므로 N이 커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시간을 더 필요로 합니다. 피보나치 40번째 수의 결과를 구하는데 벌써 수 초가 걸립니다.

최적화

그럼 이전에 구한 값을 재활용하도록 최적화를 해봅시다.

fibonacci(N) ->
    fibonacci(N, 0, 1).

fibonacci(0, Result, _Next) ->
    Result;
fibonacci(Iter, Result, Next) ->
    fibonacci(Iter - 1, Next,  Result + Next).

fibonacci(N)이 호출되면, fibonacci(N, 0, 1)을 재호출합니다. 파라미터는 각각 Iterator, Result, Next입니다.
Iterator는 이름 그대로 반복 차수에 대한 계산을 담당하며, Result는 현재 차수까지의 계산 결과, Next는 다음 차수에서 Result의 값입니다.
동작이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으면 노트에 fibonacci(6)이 호출되었을 때 호출 구조를 그려보거나, fibonacci(Iter, Result, Next)에서 로그를 출력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17> c(lect4).
{ok,lect4}
18> lect4:fibonacci(40).
102334155
19> lect4:fibonacci(100).
354224848179261915075
20> lect4:fibonacci(1000).
43466557686937456435688527675040625802564660517371780402481729089536555417949051890403879840079255169295922593080322634775209689623239873322471161642996440906533187938298969649928516003704476137795166849228875
23> lect4:fibonacci(10000).
33644764876431783266621612005107543310302148460680063906564769974680081442166662368155595513633734025582065332680836159373734790483865268263040892463056431887354544369559827491606602099884183933864652731300088830269235673613135117579297437854413752130520504347701602264758318906527890855154366159582987279682987510631200575428783453215515103870818298969791613127856265033195487140214287532698187962046936097879900350962302291026368131493195275630227837628441540360584402572114334961180023091208287046088923962328835461505776583271252546093591128203925285393434620904245248929403901706233888991085841065183173360437470737908552631764325733993712871937587746897479926305837065742830161637408969178426378624212835258112820516370298089332099905707920064367426202389783111470054074998459250360633560933883831923386783056136435351892133279732908133732642652633989763922723407882928177953580570993691049175470808931841056146322338217465637321248226383092103297701648054726243842374862411453093812206564914032751086643394517512161526545361333111314042436854805106765843493523836959653428071768775328348234345557366719731392746273629108210679280784718035329131176778924659089938635459327894523777674406192240337638674004021330343297496902028328145933418826817683893072003634795623117103101291953169794607632737589253530772552375943788434504067715555779056450443016640119462580972216729758615026968443146952034614932291105970676243268515992834709891284706740862008587135016260312071903172086094081298321581077282076353186624611278245537208532365305775956430072517744315051539600905168603220349163222640885248852433158051534849622434848299380905070483482449327453732624567755879089187190803662058009594743150052402532709746995318770724376825907419939632265984147498193609285223945039707165443156421328157688908058783183404917434556270520223564846495196112460268313970975069382648706613264507665074611512677522748621598642530711298441182622661057163515069260029861704945425047491378115154139941550671256271197133252763631939606902895650288268608362241082050562430701794976171121233066073310059947366875

이 구조는 시간 복잡도 O(n)로, 이전 구조와 비교해서 훨씬 빠르게 연산 결과를 출력합니다.

Quick sort

qsort([]) -> [];
qsort([Pivot| L]) ->
    qsort([V || V <- L, V < Pivot ]) ++ [Pivot] ++ qsort([V || V <- L, V >= Pivot]).

마지막으로 퀵 소트를 만들어봅시다. 놀랍도록 짧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실행결과

32> lect4:qsort([12, 16, 2, 20, 22, 14, 30, 34, 3, 7, 18, 21, 40, 39, 1, 11, 33, 29, 28, 10, 8]).
[1,2,3,7,8,10,11,12,14,16,18,20,21,22,28,29,30,33,34,39,40]

다만 이 구조는 Pivot을 중심으로 작은 값과 큰 값을 나눌 때, 일반적인 퀵소트는 한 번의 루프에서 분할을 하는 것에 비하여 작은 값과 큰 값 각각 한 번씩 루프를 따로 돌고 있습니다. 한 번의 루프에서 분할을 할 수 있도록 수정해봅시다.

Partition

qsort([]) -> [];
qsort([Pivot| L]) ->
    {Smaller, Larger} = partition(Pivot, L, [], []),
    qsort(Smaller) ++ [Pivot] ++ qsort(Larger).

partition(_, [], Smaller, Larger) -> {Smaller, Larger};
partition(P, [H|T], Smaller, Larger) when H >= P ->
    partition(P, T, Smaller, Larger ++ [H]);
partition(P, [H|T], Smaller, Larger) ->
    partition(P, T, Smaller ++ [H], Larger).

Pivot과 리스트를 입력받으면 리스트에서 값을 하나씩 꺼내 Smaller와 Larger로 구분하는 partition라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리스트가 빌 때까지 하나씩 꺼내며 재귀 호출을 하므로, O(n) 시간 복잡도로 Pivot보다 작은 값과 큰 값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실행결과

39> lect4:qsort([12, 16, 2, 20, 22, 14, 30, 34, 3, 7, 18, 21, 40, 39, 1, 11, 33, 29, 28, 10, 8]).
[1,2,3,7,8,10,11,12,14,16,18,20,21,22,28,29,30,33,34,39,40]

이제 완벽한 퀵 소트의 구현에 성공했습니다!

마무리

수고하셨습니다. 얼랭의 모듈과 함수에 대해 무사히 익혔습니다!
일단 함수에 대해 알기 위하여 모듈에 대한 설명은 짧게 넘어갔습니다. 추후 얼랭의 프로젝트, 프로세스, gen_server 등의 설명을 들어가기 전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좀 더 깊게 배우기 위해 Rebar3를 이용한 프로젝트 생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Erlang - 05. Rebar3 Project Setup

References